분류그룹

Quick
위로가기
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어업생산량 및 양식량 6

그래프

기간선택 ~ 조회
기간선택 ~ 조회

통계표

~ 조회 행렬전환
~ 조회 행렬전환

의미분석

지표설명

■ 지표개념

○ 연근해어업, 해면양식, 원양어업, 내수면어업으로 구분하여 수산물 생산량을 조사함

○ 전국의 모든 양식어가(사업체)를 대상으로 양식어종별로 당해년도 말 양식량을 전수조사함


■ 의의 및 활용도

○ 우리나라 수산물의 전체 생산량을 파악하여 어업경영 및 수산 물유통구조 개선 정책 수립에 활용

○ 품종별 어류양식 현황을 조사하여 어가경영의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품종별 면허, 허가 등 기초자료로 활용


■ 수치해석방법

○ 어업생산량은 조업방법별로 구분하여 중량톤으로 조사

○ 양식량은 양식방법별로 구분하지 않고 품종별로 전체 마릿수를 조사(4단계의 크기별로 조사)


지표해석

1. 2023년 어업생산동향
○ 생 산 량: 3,678,417톤[전년(3,610,461톤) 대비 1.9% 증가]
○ 생산금액: 9,288,361백만원[전년(9,249,381백만원) 대비 0.4% 증가]

2. 어업별 생산동향
○ 연근해어업
- 생 산 량: 955,955톤 [전년(888,694톤) 대비 7.6% 증가]
- 생산금액: 4,367,256백만원 [전년(4,043,007백만원) 대비 8.0% 증가]

○ 해면양식어업
- 생 산 량: 2,269,357톤 [전년(2,273,631톤) 대비 0.2% 감소]
- 생산금액: 3,137,860백만원 [전년(3,386,618백만원) 대비 7.3% 감소]

○ 원양어업
- 생 산 량: 410,226톤 [전년(399,359톤) 대비 2.7% 증가]
- 생산금액: 1,098,609백만원 [전년(1,125,694백만원) 대비 2.4% 감소]

○ 내수면어업
- 생 산 량: 42,879톤 [전년(48,777톤) 대비 12.1% 감소]
- 생산금액: 684,636백만원 [전년(694,062백만원) 대비 1.4% 감소]


유의사항

ㅇ 어업생산량
우리나라 전체의 수산동식물 생산량을 포함하였음
ㅇ 양식어종량
- 해수면 및 육상시설물 중 해수를 이용한 양식어종
- 어종별로 4단계(250g이하, 250~500g, 500g~1kg, 1kg이상)로 구분하였음
ㅇ 제외대상
- 내수면양식어가 또는 사업체, 종묘생산어가 또는 사업체
- 중간육성 어류를 판매하는 가구 및 사업체
- 일시보관 또는 축양하는 어가(사업체)
- 실험목적으로 학교 연구소에서 운영하는 양식장
- 단순오락 및 유어 낚시터


관련용어

연근해어업 : 해수면(바다)에서 어류, 갑각류, 연체동물, 패류, 해조류. 기타수산동식물을 포획 또는 채취하는 어업

해면양식 : 해수면(바다)이나 육상에서 인위적인 시설물을 설치하여 바닷물을 이용하여 수산동식물을 기르는 어업

원양어업 : 원양산업발전법에 의한 원양어업 허가를 받아 해외수역을 조업구역으로 하는 어업

내수면어업 : 하천, 호수, 저수지, 댐 등에서 어류, 패류 등을 포획 채취하는 어업을 하거나 인위적인 시설물을 설치하여 민물을 이용하여 어패류 등을 기르는 어업

지표정보

담당 부서 및 연락처 :   해양수산부, 어업정책과, 044-200-5515

최근 갱신일 :   2024-06-19(입력예정일 : 2025-05-31)

자료 출처 :   통계청 어업생산동향조사, 어류양식동향조사

공표 주기 :   1년

의견 및 질문

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
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.

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?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. (한글 50자 이내)

  • 0

0/50 평가하기

평가자 정보

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[참여마당 > 질문과 답변(Q&A)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
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,  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