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강수량 개념 ° 강수량: 비나 눈, 우박 등과 같이 구름으로부터 땅에 떨어져 내린 강수의 양 ° 어느 기간 동안에 내린 강수가 땅 위를 흘러가거나 스며들지 않고, 땅 표면에 괴어 있다는 가정 아래 그 괸 물의 깊이를 측정 - 눈·싸락눈 등 강수가 얼음인 경우에는 이것을 녹인 물의 깊이를 측정 - 비의 경우에는 우량 또는 강우량이라고도 하며, 단위는 ㎜로 표시
■ 강수량 통계 ° 강수량 값은 1973년 이후 기상청 관측지점 수가 급증하여 안정적으로 연속관측을 수행한 62개 지점의 통계값을 사용 ° 연값은 당해년(1월~12월)으로 하였음 ° 계절구분은 봄(3-5월), 여름(6-8월), 가을(9-11월), 겨울(당해년12-다음해1,2월)로 하였음 ° 강수량은 기간동안의 강수량 합계로 계산됨
■ 의의 및 활용도 ° 이 통계는 전국평균 데이터이며, 전국평균값은 전문자료로 사용하기보다는 참고용으로 사용하는 값임 ° 10년간의 계절별 강수량 변화 현황을 통해 기후변화 경향을 파악할 수 있음
지표해석
■ 2024년 강수량 현황 및 연별·계절별 전국 강수량 변화 추이
○ 연 강수량 - 2024년 전국평균 연강수량은 1416.4mm로 평년(1991~2020년) 대비 106.0%였다.
○ 계절 강수량 - 2024년 계절별 전국평균 강수량은 봄은 266.7mm, 여름은 604.3mm, 가을은 415.7mm, 겨울은 39.6mm가 내렸다. - 월강수량은 7월이 385.3mm로 가장 많았고, 12월이 6.5mm로 가장 적었다.
유의사항
o 이 통계는 전국평균 데이터로, 전국평균값은 참고용으로 사용하는 값 o 기후평년값과 해당연도의 비교를 위하여 평년값 대표지점 62개소 기준 전국평균 - 기후평년값: 30년을 누년평균한 값, 평년기간: 1991~2020년 (2021년 공표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