ㅇ 소득분배지표 기준소득 개념(Wave7) : 소득별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음
- 시장소득: 근로소득 + 사업소득 + 재산소득 + 사적이전소득* - 사적이전지출
* 가구간 이전지출 및 비영리단체 이전지출
- 처분가능소득: 시장소득 + 공적이전소득* - 공적이전지출**
* 공적이전소득: 공적연금, 기초연금, 양육수당, 장애수당 등
** 공적이전지출: 세금, 공적연금 기여금·사회보험료 등
※ Wave6 기준에서는 시장소득, 처분가능소득에서 사적이전지출을 차감하지 않음
ㅇ 균등화소득 : 가구원수가 다른 가구 간의 후생(복지)수준을 비교 가능하도록 가구소득을 가구원수의 제곱근으로 나눈 소득(OECD 방법)
- 예를 들어, 1인 200만원으로 사는 가구가 결혼하여 2인가구가 된 경우에 동일한 후생수준을 누리기 위해서는 400만원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, 함께 거주함으로써 추가 구입 없이 공동 사용할 수 있는 주택이나 가구 등은 공유하고,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도 규모의 경제가 수반됨에 따라 절약되어 283만원(200×2의 제곱근)만 있어도 동일한 후생을 누릴 수 있음을 의미
ㅇ 지니계수 :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써 ‘0’이면 완전평등, ‘1’이면 완전 불평등을 의미
담당 부서 및 연락처 : 통계청, 복지통계과, 042-481-2278
최근 갱신일 : 2025-01-16(입력예정일 : 2025-12-31)
자료 출처 : 통계청「가계동향조사」, 「농가경제조사」,「가계금융복지조사」
공표 주기 : 1년
번호 | 제목 | 등록일 |
---|---|---|
7 | 2024년_가계금융복지조사_결과.pdf | 2024-12-10 |
6 |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.pdf | 2023-12-15 |
5 |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.hwp | 2023-01-26 |
4 |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.pdf | 2021-12-24 |
3 |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.pdf | 2020-12-18 |
2 | 2019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.pdf | 2020-01-20 |
1 |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.pdf | 2019-01-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