분류그룹

위로가기
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스포츠산업 전문인력양성 현황 1

그래프

기간선택 ~ 조회
기간선택 ~ 조회

통계표

~ 조회
~ 조회

의미분석

지표설명

■ 지표 개념

ㅇ 스포츠산업 발전을 선도할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국민체육진흥기금 등을 통해 운영하고 있는 교육과정 양성인원 실적


■ 지표 의의 및 활용도

° 스포츠산업전문인력 양성사업 과정별 지원인원에 대한 연간통계로 스포츠산업육성 및 인력양성 정책 수립시 활용


지표해석

■ 스포츠산업 전문인력 증감 추이 분석

ㅇ 2002년 부터 2009년까지는 수도권 지역 교육 한정(한국스포츠개방원 시행)

- 2002년 부터 2007년까지 8주 이내 단기 교육과정 운영: 연평균 증가율 48%

- 2008년 스포츠마케터 과정을 6개월 장기과정으로 전환, 교육인원 대폭 감소 : 전년대비 38% 감소

ㅇ 2009년 부터 지역별 스포츠산업전문인력양성기관 운영 시작(지자체별 지정 운영기관)

- 2009년 지역별 교육시작, 전년대비 양성인원 대폭 상승: 98% 증가

- 수도권(한국스포츠개발원) 시행 전문교육과정은 지역별 교육기관 증가 등에 따라 양성인원 점차 감소

ㅇ 2014년 교육과정 전면 개편

- 한국스포츠개발원 직접 교육은 교육인원 지속 감소를 감안, 사업 중단

- 타 산업부문과의 융합을 통한 스포츠산업의 발전을 위해 스포츠융합특성화대학원, 융합CEO 과정 등 특성화 중심 교육 개시

ㅇ 스포츠산업 전문인력은 산업계의 수요와 현장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창의적이고 수준높은 전문인력을 양성함으로써 전문인력 부족을 해소하고, 산업의 자생력과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인력을 확대하는 등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됨

ㅇ 2019년부터 기존 대학원 지원 사업 모두종료하고 스포츠와 기술 등 융합석사과정 운영하는 '스포츠융복합대학원' 신규사업으로 변경 추진, 2019년 성균관대 스포츠인터랙션학과, 포항공대 AIX프로그램 2개 선정 지원 중


유의사항

ㅇ 현재 스포츠산업전문인력 과정을 중복 수료한 경우가 있어 지표산정에 있어 일부가 중복될 수 있음

관련용어

스포츠산업전문인력 : 스포츠산업 현장 종사 및 향후 종사 예정의 전문인력을 말하며, 현재 스포츠마케터, 스포츠시설업관리자 등에 종사하거나, 특성화 대학원 재학 및 수료생, 스포츠산업 인턴십 참여 중이거나 유경험자를 의미

스포츠산업 : 스포츠와 관련된 재화와 서비스를 통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

스포츠 : 건강한 신체를 기르고 건전한 정신을 함양하며 질 높은 삶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행하는 신체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문화적 행태인력 양성사업은 2002년부터 시행

지표정보

담당 부서 및 연락처 :   문화체육관광부, 스포츠산업과, 044-203-3152

최근 갱신일 :   2025-04-25(입력예정일 : 2026-05-01)

자료 출처 :   국민체육진흥공단

공표 주기 :   1년

의견 및 질문

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
등록된 게시글이 없습니다.

현재 보고계신 지표서비스 내용에 어느정도 만족하시나요? 의견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작성하여 주세요. (한글 50자 이내)

  • 0

0/50 평가하기

평가자 정보

ㆍ지표 서비스 관련 질문은 [참여마당 > 질문과 답변(Q&A)]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.
ㆍ제출한 평가내용을 수정 원하시면,  [여기]를 클릭하여 주세요.